‘빈대잡으려고 초가삼간 태운다’는 옛말이 있다. 최근 게임업계에 이같은 일이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얼마전 발생한 ‘게임으로 인해 발생한 살인사건’때문이다.

 

이 사건이 발생하고 정부는 대책마련을 위한 회의를 진행하는 등 부산하다. 이번 사안을 놓고 보면 게임이 살인의 주요한 역할을 한 것은 명백해 보인다. 게임을 안좋은 것으로 인식하기에 충분한 단초를 제공했다.

 

이에따라 산업계가 그동안 봉합하려 했던 게임의 역기능측면이 급부상할 조짐이다. 문제는 최근 정부에서 게임과 관련 규제를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상황과 맞물릴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 어느때보다 강력한 규제책이 나올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 이런 상황이지만 산업계는 ‘나 몰라라’식이다. ‘나만 아니면 된다’는 생각이 강하다. 어느 누구도 나서서 이번 사건과 관련돼 산업계가 대책을 만들고 다시는 이런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산업계가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할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하지 않고 있다.

 

산업계는 언제나 자율 규제를 강조해왔다. “정부에 요구하는 것은 진흥이 아니라 단지 간섭만 하지 말아달라는 것”이라고 할 정도로 자율 규제를 강하게 요구했다. 지난해 실시했던 그린캠페인도 이의 일환이었다.

 

그러나 정작 산업계는 자율 규제를 요구하면서도 이에 따른 책임에는 소홀한 느낌이다. 자율에는 책임이 따르지만 정작 책임을 요구할 때는 모두 등을 돌리는 모습을 보인다.

 

이번 사안을 두고 정부가 강력한 규제책을 내놓을 경우 산업계는 또 다시 정부에 왜 게임에 대해서만 이렇게 강력한 규제를 하느냐는 목소리를 높일 것이다. 또한 게임뿐 아니라 영화, TV등도 그러한 단초를 제공한다는 주장을 할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목소리를 내기 이전에 과연 게임 기업으로서 가져야 할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있는가를 생각해 봐야 한다. 이것은 단지 산업계가 주로 하고 있는 사회봉사 활동에 그치는 것은 아니다. 이번 사건에도 산업계가 책임져야 할 부분이 있다. 다시는 이런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산업계가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다.

 

 

[더게임스 안희찬기자 chani71@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