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웹보드게임의 사행성 논란이 다시 이슈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지난 16일 실시된 게임물등급위원회 국정감사 자리에 한국게임산업협회 김정호 회장이 증인으로 출석해 이와 관련된 국회의원들의 질의를 받았습니다. 이 자리에서 국회의원들은 간접충전, 결제한도 등에 대해 집중 추궁아닌 추궁을 했는데요. 이 모습을 지켜보면서 해답이 무엇일까 하는 고민을 했습니다.

 

업계는 업계 나름대로 그린캠페인을 실시하며 사행성을 줄이려는 노력을 펼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도 사행성 게임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제재를 취할 것이라고 서슬퍼런 공언을 하고 있는 실정이죠. 또한 시민단체에서도 사행성을 조장하는 게임물까지도 강력하게 규제해야 한다고 나서는데도 불구, 사행성 논란은 끊이질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전 이 문제를 따로국밥식으로 해결하려는 것이 사행성 논란을 줄이지 못하는 이유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봤습니다.

 

즉, 업계는 업계대로 정부는 정부대로 시민단체는 시민단체대로 각자의 해결책이 최선책이라고만 강조하고 있습니다. 서로가 머리를 맞대고 문제를 해결하려고는 하지 않고요. 물론 각자의 역할은 있습니다. 또한 업계는 기업인 점을 감안할 때 최소한의 규제를 필요로 합니다. 시민단체는 감시를 통해 건전한 사회를 만들어야 하는 책무가 있습니다.

 

그렇다고 지금까지 그랬던 것 처럼 줄다리기만 해서는 앞으로 해결될 가능성은 없어 보입니다. 해외의 경우 시민단체와 업계가 공동작업을 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서로간의 타협점을 찾고 이를 통해 최선의 답을 찾겠다는 것이죠. 이 방안은 업계나 시민단체 모두에게 윈윈하는 모델이 되는 것 같습니다. 게임의 성장은 유저들의 커뮤니티에 의해 이뤄지는데요. 게임문화의 성장을 위해 시민단체 업계 정부가 함께 마음을 터놓고 커뮤니티를 하는 것은 어떨까요?

 

게임을 나쁜 놀이가 아닌 아이들이 즐길 수 있는 문화로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일이 아닐까요?

 

 

[더게임스 안희찬기자 chani71@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