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적 社會인식 개선 최우선 과제

중소개발사 초기 기획단계서 투자 ‘절실’…올해 화두는 M&A·글로벌 경쟁

 

[더게임스 모승현기자] 설문 결과 국내 주요 게임업체 CEO는 게임이 차세대 문화콘텐츠산업으로 발전해나가고 있지만 인력난과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업간 M&A와 글로벌 게임 업체간 무한경쟁을 올해 최고의 화두로 꼽았다. 정부가 게임산업을 발전시켜나가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사회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았다. 이와 함께 수출 확대를 위해 지적재산권 문제 등 해외 파트너사와의 마찰 시 정부가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 인력난 해소 ‘시급’
국내 주요 업체 CEO들은 게임사업을 영위하는 데 있어 가장 큰 애로점으로 전체 응답자 중 40%가 인력난을 지적했다. 응답자 중 24%는 부정적인 인식을 꼽았다. 게임산업이 대표적인 아이디어 산업이라는 점에서 인력난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 경쟁력 약화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 2006년 ‘바다이야기’ 사태 이후 아직까지도 남아있는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인식도 게임인들에게 적지 않은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인력난의 경우 짧은 기간 내에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체계적인 인력양성 방안은 물론, 적극적인 산학협동 모델 발굴, 경력직과 신입직의 적절한 배분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해 게임업계는 넥슨과 네오플, 한빛소프트와 티쓰리엔터테인먼트, NHN게임스와 웹젠 등 크고 작은 M&A가 활발히 일어나며 자본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았다. 올해 급부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핵심 키워드 2개를 꼽으라는 질문에 34%의 응답자가 글로벌 게임업체 간 무한경쟁, 30%의 응답자가 기업 간 M&A를 선택했다.

 

EA, 블리자드 등 글로벌 게임업체들의 적극적인 공략에 따라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또 자본력을 갖춘 퍼블리셔와 기술력과 아이디어로 무장한 개발사의 M&A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적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임산업 투자활성화에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사회적인 인식 제고라고 전체 42%의 응답자가 답변했다. 지난 2006년 ‘바다이야기’ 이후 실추된 게임산업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제고 없이 투자활성화는 불가능하다는 데 뜻을 같이한 것으로 풀이된다.

 

# 해외 파트너사 마찰시 지원 ‘확대’

특히 최근 불거져나오고 있는 일부 연예인과 프로야구선수들의 인터넷도박 문제가 자칫 건전한 온라인게임으로 불통이 튀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산업자본을 확충해야 한다는 답변도 28%를 차지했다. 이밖에 투명한 자본 관리, 기업공개 활성화, 완성보증제도의 도입 등은 각각 10%를 차지했다.


수출 확대를 위한 정부의 지원책으로는 지적재산권 등 해외 파트너사와의 마찰시 실질적인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답변이 42%를 차지했다. 특히 중국에서 한국게임을 모방한 작품의 잇단 출시 문제와 로열티 미지급 등으로 인한 계약파기가 적지 않지만, 정부 차원의 대책은 전무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설문에 답변한 한 CEO는 “해외에서 파트너사와 마찰이 발생할 경우 정부에서는 개별 기업의 사안이기 때문에 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며 적극적인 대응을 피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지난 12월 24일 한,중 문화부 장관이 게임산업 진흥을 위한 MOU를 체결하며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물꼬를 튼 만큼 정부 차원의 대책이 조만간 나올 것이라는 희망도 흘러나오고 있다.

 

# 건전게임이용문화 확립 ‘필요’
게임에 대한 대국민 인식제고를 위해 꼭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과반수를 훌쩍 넘는 64%의 응답자가 건전게임문화 조성과 산업 육성을 연계한 균형있는 인식 전환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게임산업진흥원, 한국방송영상진흥원,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이 통합될 경우 이에 대한 장기적인 로드맵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이벤트성 캠페인 보다는 초·중·고 정규교육과정에 올바른 게임이용의 필요성과, 게임과몰입 등을 추가해 청소년 시기부터 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최근 급격한 자금난에 봉착하고 있는 중소개발사에 대한 지원책으로는 전체 32%의 응답자가 완성된 콘텐츠가 아닌 초기 기획 단계에서는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는 온라인게임의 경우 초기 개발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이 밖에 공공펀드를 통한 개발·마케팅 비용을 우선 지원해야 한다는 답변이 24%, 정부 및 공공기관 차원의 지속적인 우수 게임 콘텐츠 발굴 및 지원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24%를 차지했다. 
 

mozira@thegame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