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부족 / 업계 분열이 산업성장 '걸림돌'
 
게임산업이 폭발적인 성장을 구가하고 있지만, 외형적인 화려함 뒤에는 암운도 숨겨져 있게 마련이다.
 아케이드 산업은 이미 성장력이 떨어져 고사상태에 빠져있으며 PC 게임은 외산 대작 만이 살아남았을 뿐 국내 개발사의 맥이 끊길 위기에 처해있다.
 온라인게임 역시 엔씨소프트와 웹젠 등 일부 메이저 업체들이 시장을 과점하고 있어 후발업체들의 시장 진입에 애로가 많다.
 무엇보다 전세계 시장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비디오(콘솔)게임의 경쟁력이 제로에 가깝다는 점이 아킬레스건. 불법 복제가 만연해 국내 콘솔 시장은 아직도 제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 개발 능력과 노하우도 거의 전무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국내 게임산업의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인 성숙을 위해선 아직 넘어야할 산이 많다"면서 "게임산업이 경제의 중심부로 들어선 만큼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발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내실먼저 다져야
 
한국 게임산업의 최대 취약점은 ‘인재의 빈곤’이다. 특히 핵심 엔지니어층이 선진국에 비해 매우 얇다. 최근 게임 교육기관들이 잇따라 설립되고 있지만 체계적으로 인재를 육성할 시스템이 구축되지 못한 상황이다. 그나마 있는 교육기관들도 단순 지식만을 주입할 뿐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워줄 만한 역량이 부족하다.
 특정 플랫폼에 의존한 게임시장 구조도 문제. 세계 게임시장의 절반 이상을 콘솔 게임이 차지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 분야에선 세계에 명함을 내밀 개발사는 찾기 어렵다. 앞으로 게임 플랫폼을 불문하고 모든 게임은 온라인 및 네트워크화가 대세다. PC 일색의 국산 온라인 게임이 플랫폼을 다양화시키지 못하면 성장도 보장할 수 없을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우선 핵심 엔지니어를 체계적으로 양성할 수 있는 국가적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현업의 우수한 개발 엔지니어들이 사명감을 갖고 후진 양성에 적극 가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마스터플랜을 만들자
 
미국, 일본 등 게임 강국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보다 장기적인 비전을 갖고 체계적으로 전략을 수립하는 것도 중요하다. 기업들도 좁은 내수 시장 위주의 ‘우물안 개구리’식 사고에서 벗어나 세계 시장을 겨냥한 거시적 관점을 배양하는 것이 절실하다.
 정부의 역할도 절대적이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문화관광부, 정보통신부, 산업자원부 등이 게임시장의 가치를 인식하고 앞다퉈 각종 지원책을 내놓고 있다. 세계 3대 게임강국 실현을 위한 중장기 게임산업 발전 계획도 수립됐다.
 하지만 부처 이기주의로 포장만 바뀐 유사 정책이 쏟아져 나오는 것은 예산 낭비와 게임업계의 혼란을 가중시킬 뿐이란 지적도 많다. 따라서, 범부처 차원의 명확한 역할정립을 통해 예산 낭비를 줄이고 업계를 일사분란하게 리드할 방향타를 잡는 것이 시급하다.
 
 
단합만이 살 길
 
업계의 분열상도 풀어야할 과제다. 현재 게임 관련 협·단체만도 30여개에 달할 정도로 업계는 플랫폼별, 업계 규모별로 대치돼있다. 자연히 힘이 분산되는 비효율을 초래함은 물론 정부 정책 수립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다만 최근 강력한 리더십을 구현하기 위해 범 게임 협·단체 통합을 기치로 선두업체들이 뭉치기 시작했지만 통합 논의가 아직 범업계 차원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영세업체들의 소외현상이 심화하고 있으며 배급사와 개발사 간의 해묵은 갈등이 계속되고 있다.
 통합협회 설립을 주도하고 있는 김범수 NHN사장은 "한국이 세계 게임시장의 중심에 서느냐, 변방에 남느냐는 업계가 얼마나 단합하느냐에 달려있다"며 "게임강국으로 가는길은 어찌보면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지적했다.
 
김태훈기자(taehun@etnews.co.kr)
저작권자 © 더게임스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